xcode Download 한다.

실행후 Command Line Tools 설치 후 종료.

 

http://brew.sh/

brew 설치.

터미널에서 -> ruby -e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.com/mxcl/homebrew/go)"

터미널 재실행.

 

npm 설치

터미널에서 -> brew install npm

localhost:Documents Wind$ brew install npm

터미널 재실행.

 

// xcode를 미설치나 미동의시 아래같은 내용이 나올 수 있다.

Warning: You have not agreed to the Xcode license.

Builds will fail! Agree to the license by opening Xcode.app or running:

    xcodebuild -license

 

nvm 설치

  • curl https://raw.github.com/creationix/nvm/master/install.sh | sh
  • open a new terminal window (or do a shell logout + login)
  • touch /User/userid/.profile 라고 친후 재인스톨.
  • nvm install 0.8
  • nvm use 0.8
  • node --version 으로 0.8.x 버전인지 확인. (컴파일은 0.8 버전대밖에 되지 않는다.)
npm install -g sm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ajaxorg/cloud9.git

 

Tomcat 7.x 에서는 기본적으로 압축이 지원된다고 한다.


환경설정만 바꿔주면 된다.


1. /Tomcat/conf 이동후 server.xml 파일 오픈한다.

2. 내용검색으로 port="8080" 를 검색한다.

3.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.

compression="on"

compressionMinSize="2048"

noCompressionUserAgents="gozilla, traviata"

compressableMimeType="text/html,text/xml,text/plain,text/javascript,text/css,application/javascript"


즉 아래처럼 보일것이다.

<Connector port="8080" protocol="HTTP/1.1"

               connectionTimeout="20000"

               redirectPort="8443" 

               compression="on"

               compressionMinSize="2048"

               noCompressionUserAgents="gozilla, traviata"    compressableMimeType="text/plain,text/html,text/xml,application/xhtml+xml,application/xml,application/rss+xml,text/css,application/javascript,application/x-javascript,audio/midi"/>

               compressableMimeType="text/plain,text/html,text/xml,application/xhtml+xml,application/xml,application/rss+xml,text/css,application/javascript,application/x-javascript,audio/midi"/>


Connector 노드에 

compression, compressionMinSize, noCompressionUserAgents, compressableMimeType 노드를 추가합니다.


compression : default "off" 

압축전송기능 사용여부를 설정합니다. 당연히 이 기능을 쓰기위해선 on으로 설정해야합니다.


compressionMinSize : default "2048"

byte단위로 몇 이상 크기부터 압축할지를 결정합니다.

너무 작은 크기를 압축하면 오히려 서버의 자원낭비가 될 수 있습니다.

(물론 작은크기에서 압출률도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.)


noCompressionUserAgents : default ""

압축을 사용하지 않을 유저에이전트(브라우저)를 설정합니다.


compressableMimeType : default ""

압축을 사용할 파일분류를 설정합니다.


추가로 IE 7(?) 포함한 이하버전과 넷스케이프 4(?)포함 이하버전은 gzip 전송하면 안된다.

noCompressionUserAgents 를 변경해야될지 몰르겠다.


// 옵션에 상세 설명은 여기가서 확인하면 된다.

http://tomcat.apache.org/tomcat-7.0-doc/config/http.html


※ 추가 

ehcache lib를 이용한 zip 압축하기


http://pupustory.tistory.com/257




이번에도 맥기준으로 나열한다. (톰켓아닌 맥 기본 apache 설정이다.)


deflate_module 를 이용한 gzip 압축


환경설정만 바꿔주면 된다.


1. /private/etc/apache2 폴더로 이동한다.

2. 텍스트에디터서 httpd.conf 를 연다.

3. 이라인이 있는지 확인한다. "LoadModule deflate_module libexec/apache2/mod_deflate.so"

4. 아래의 내용을 적당한곳에 추가한 후 서버를 재시작 한다.

<IfModule deflate_module>

  # 압축 할 파일 설정

  AddOutputFilterByType DEFLATE text/plain text/html text/xml

  AddOutputFilterByType DEFLATE application/xhtml+xml application/xml application/rss+xml

  AddOutputFilterByType DEFLATE text/css application/javascript application/x-javascript

  AddOutputFilterByType DEFLATE audio/midi


  # DeflateCompressionLevel는 사용할 압축수준을 선택한다. 값이 클수록 압축률이 증가하지만, CPU를 더 많이 사용한다.

  DeflateCompressionLevel 9 # 압축 레벨 1 ~ 9 까지 존재.

  DeflateBufferSize 2048


  BrowserMatch ^Mozilla/4 gzip-only-text/html   # Netscape 4.xx에는 HTML만 압축해서 보냄

  BrowserMatch ^Mozilla/4\.0[678] no-gzip   # Netscape 4.06~4.08에는 압축해서 보내지 않음

  BrowserMatch \bMSIE !no-gzip !gzip-only-text/html   # 자신을 Mozilla로 알리는 MSIE에는 그대로 압축해서 보냄

</ifModule>


5. 추가 치시어는 deflate_module 에서 확인 하면된다.



'Dev > Apach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pache Tomcat gzip 압축전송하기.  (0) 2013.09.13
맥에서 웹 공유(Apache)기능 활성화 하기.  (0) 2013.09.13
맥에 Tomcat 설치하기. (Ver.7.x)  (0) 2013.09.09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