필요한 전역 모듈
- @nestjs/cli - nestjs cli
- tree-cli - 폴더구조를 텍스트 형태로 만들어 줍니다.
- pnpm - npm 대신 사용할 패키지 매니저 (npm, pnpm, yarn 벤치마킹)
$ npm i -g @nestjs/cli tree-cli pnpm
file, class 등 naming 규칙
- 파일명은 케밥 케이스를 사용합니다.
- 클레스명은 대문자를 사용합니다.
- interface, controller 등은 예) "xxx.interface.ts", "xxx.controller.ts" 로 명명합니다.
- nest g xxx 를 통하여 생성하고 파일을 구조에 맞게 이동합니다.
API 작성시 controller, module, service의 path 관리 규칙
- controller 의 명에따라 폴더 구조로 나눕니다.
- monorepo를 지원하기 때문에 공통 모듈일 경우는 lib로 생성하여 사용합니다.
- dto는 git의 sub_module을 통해 배포해야 클라이언트 또는 브라우저에서 같이 사용가능합니다.
'Dev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stjs] transform.interceptor 를 Global로 사용시. (0) | 2023.01.06 |
---|---|
requestAnimationFrame 가 호출이 안될때가 있다. (0) | 2017.01.17 |
closure (클로저)가 무엇인가. (0) | 2015.03.03 |
Memory leak patterns in JavaScript (0) | 2012.08.20 |
Google Chart Tools, 빠르고 다이나믹한 차트 생성 (0) | 2012.07.15 |
HTML5 API 강좌 #3 – 아이폰 Web App 만들기 (0) | 2012.04.23 |
HTML5 API 강좌 #2 – Web SQL Database 와 GeoLocation (0) | 2012.04.23 |
파일이름 관련 함수 (0) | 2012.03.27 |